국공노, 정부에 내년도 공무원 보수 인상 요구 기자회견 진행
- 보수 377,000원 정액 인상, 정액급식비·직급보조비 각각 인상, 초과근무수당·연가보상비 민간 수준으로 동일하게 적용 등 -
□ 국가공무원노동조합(위원장 이철수, 이하 국공노)은 22일(월)일 정부세종청사 인사혁신처에서 내년도 공무원 보수와 관련한 대정부 요구안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.
□ 이날 기자회견에서 국공노는 정부가 코로나19와 고물가 등의 이유로 공무원 노동자에게 일방적 희생을 강요한 것을 반영해 '21년부터 '23년까지의 실질소득 감소분 누적치와 '24년 소비자물가 전망치를 고려해 내년도 공무원 보수를 377,000원 정액으로 인상할 것과
o 정액급식비와 6급 이하 직급보조비를 각각 8만원과 3만5천원씩 인상하고, 초과근무수당과 연가보상비의 산정 방식을 민간수준으로 개정해 하위직 공무원 노동자의 처우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적 지원에 나설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.
□ 특히, 이날 국공노의 상급 단체인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(위원장 석현정, 이하 공노총)은 용산 대통령집무실 앞에서 공무원 보수 인상 요구안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고, 공노총 소속 105개 단위노조도 전국 각지에서 동시에 기자회견을 진행했다.
□ 이철수 위원장은 "코로나19와 고물가 시대에 정부는 공무원 노동자에게 일방적으로 낮은 보수 인상을 통보하고, 무조건적인 희생만을 강요했다. 공무원의 희생으로 얻어진 결실이 마치 자신들의 업적인 듯 칭송만 늘어놓고, 공무원 노동자에게는 어떠한 보상도 주어지지 않았다"라며,
o "국공노는 공노총과 함께 올해를 그간의 공무원 희생에 대한 보상을 쟁취하는 원년으로 삼고, 요구안을 관철할 수 있도록 한여름 더위보다 뜨거운 투쟁을 전개할 것이다. 정부는 이제라도 전국 120만 공무원 노동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, 우리의 요구안을 조건없이 수용하길 바란다"라고 말했다.
□ 국공노는 정부가 요구안을 수용할 때까지 각종 홍보전과 1인 시위 등을 전개하고, 6월과 7월 공노총이 서울에서 진행하는 총력 투쟁대회에도 참석해 내년도 공무원 보수 인상을 위한 지속적인 투쟁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. (끝)